수능만이 과연 문제일까?
기억하실 분이 있으실진 모르겠지만, 오랜만에 글을 남겨봅니다.
다소 긴 글이 될거같네요 ㅎㅎ..
최근 수능 난이도나 문제 출제 방향성에 대해 여러 이야기가 나오는데 사교육 시장의 문제보다 더 큰 문제는 두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공교육 쪽이 아닌 사교육 쪽에 있어서 어느정도 팔은 안쪽으로 기운다는 점 고려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학생 부담을 핑계로 기형화된 수능 문제.
수능에 대한 불만이 본격적으로 나온 것은 늦어도 2010년대부터로 기억합니다.
역사가 길어지기도 하여서 문제의 유형이 고착화되기도 하였고, 기존의 강의와 컨텐츠에서 벗어난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하기도 하였지만 결국은 수능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생각 없이 너무 호작질해놨다고 생각합니다.
기억이 나는 것만해도
a. 탐구 과목 축소
b. AB형 수능 분리
c. 영어 절평
d. 한국사 필수
e. 약칭 통합수능
f. Ebs 연계
정도가 있네요. 폐지된 두번째 정책빼고는 오늘날에도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들 도입 초창기의 목적은 학생들의 부담을 줄여준다. 였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의 공부 “시간”은 한정되있고 풍선효과가 발생하게 되었지요.
만약에 과거처럼 탐구 과목 축소, 수학 분리시행, 영어 상평이 이루어졌다면
혹은 최소한 영어 상평이 이루어졌다면 이정도까진 안 왔으리라고 아직도 생각합니다.
영어 상평 시대를 살아온 문과 출신인 저에게 영어는 최소한 수학보다 중요한 과목이었습니다.
공부 시간을 100으로 할당하면, 35 20 30 15 정도였던거 같네요.
하지만 절평으로 바뀌게 되면서 문제가 어렵다 쉽다를 떠나서 학생들의 절대적 공부량 자체가 줄어버렸습니다.
수능이라는 시험은 결국 대학들 서열을 없애고 국공립화를 시키지 않는다면
“내 등수”가 몇 등인지를 알아야하는 시험입니다.
10과목으로 변별하는것보다 4과목으로 변별하는 것이 훨씬 어렵습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수능 자체가 기괴해졌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과탐은 말할 것도 없고, 과거 수능 비문학 지문은 높게 쳐야 대학교 1학년 개론 수업~교양수업이었지만, 어느 순간부터 수준 자체가 많이 올라갔습니다.
결국 학생들의 공부 시간을 절대적으로 강제로 줄이지 않는 한 과목수나 범위를 줄인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는 아닌데 정책적인 요소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2. 사교육과 공교육의 괴리.
다른 강사분들도 많이 언급하셨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결국은 이번에 논란이 된 비문학도 공교육 현장과 수능의 괴리에서 왔다고 생각합니다.
1에서 말한 초기의 목적이 어떻게 됐건, 수능 자체는 기존의 도입 취지에 맞게 잘 시행되고 있습니다.(난이도 측면을 제하고) 사고력을 측정한다는 측면에서는 매우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일선 교육 현장에선 수능을 위한 공부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바꾸어서 말하면 “능력”을 위한 공부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물론, 훌륭하신 선생님들도 많이 계시지만 학생분들이 느끼시는 것처럼 일선 교육현장에서 “독서”를 제대로 가르치는 선생님이 없다는 것이 문제겠지요.
필연적으로 현행 제도 하에선 내신과 수능의 괴리가 벌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수능이라는 시험이 어마어마한 금액이 투입되고 일선 현장에선 그렇게 내는 것이 힘들기 때문입니다. 특히 내신형 시험은 비문학 문제 출제가 몹시 어렵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근본적으로 필요한 것은 수능 자체를 내신형으로 바꾸는 것만을 고려하는게 아니라 일선 교육현장이 수능에 적합한 강의를 할 수 있도록 바뀌어야합니다.
물론, 제가 생각하기에도 지금의 사교육 시장의 비대함과 수능의 난이도는 정상적이진 않은거같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능만을 고친다고 해서 지금의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금 성적발표났나요????? 그곳 들어가보니깐 수능성적 발표났다고 다시 입력하라는데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