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되고싶은인간 [1033160] · MS 2021 (수정됨) · 쪽지

2021-08-02 16:42:43
조회수 5,773

문학보다 재미없는 비문학 - 이기적 유전자 1장

게시글 주소: https://mission.orbi.kr/00038888264



네 제목처럼 <이기적 유전자>재미없습니다. 


이타주의의 범위 같은 것을 재밌어할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물론 가끔 재밌긴 하지만 어느샌가 그런 부분들은 사라져버립니다.


그래서 이 글에선  1장에서 재밌는 부분만 잘라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재밌는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몇 가지만 알고 가시면 좋겠네요.



<이기적 유전자>와 이 글의 모든 내용은


어떤 행동이 도덕적인가 같은 꼰대 시각이 아니고.


우리의 천성은 이렇고 우리는 천성을 거스를 수 있니 없니 같은 내용도 아니고.


어떤 생물은 상세하게 이렇게 행동한다 같은 내용도 아닙니다.


(마지막은 자료로 이용할 일이 있지만 무언가의 근거로 쓰진 않을겁니다.)



그럼 드디어 시작하겠습니다.



1. 사람은 왜 존재하는가?



여러분 잠시 생각해봅시다.



이기적인 건 뭐고 이타적인 건 뭘까요?


뭐 하나 예시로 들자면



A가 1등급을 맞았다면 A는 이기적일까요 이타적일까요?



타인을 깔고 누구나 원하는 1등급을 가로챘으니 이기적?


또는 부모님을 위해서 노력해 1등급을 얻었으니 이타적?




사실 이 논쟁은 끝이 나지 않습니다.


왜냐면 "동기"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기적 유전자>에서는 동기를 지우고 오로지 행동으로만 구분하기로 했죠.


(앞선 사람으로 예시를 든 것보다 동물이 나을 것 같아 <이기적 유전자>에 있는 예시를 소개드리겠습니다.)





암사마귀는 동족을 잡아먹는

 무시무시한 습성이 있다. 

(중략)

 짝짓기를 할 때 수컷은 조심스럽게 

암컷에게 접근하여

 암컷 위에 올라타고 교미를 한다.

 암컷은 기회가 되면 수컷을 잡아먹는다. 

(중략) 

실제로 곤충의 머리에는 억제 중추가 있기 때문에 

암컷은 수컷의 머리를 먹는 것으로 

수컷의 성행위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기적 유전자> 중




앞서 말했던 행동으로만 구분한다면.


암컷 사마귀가 한 행동은 이기적이겠죠.



자 이 정도면 납득이 되셨을 것 같아.


이번엔 이타적인 동물의 행동 예시 중 <이기적 유전자> 에 나온 것을 소개하겠습니다.





일벌이 침을 쏘는 행동은 

꿀 도둑에 대한 아주 효과적인 방어 수단이다. 

그러나 침을 쏘는 벌은 가미가제 특공대다. 

침을 쏘는 것과 동시에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내장이

 보통 침과 함께 빠져 버리기 때문에

 그 벌은 얼마 지나지 않아 죽게 된다. 

벌의 자살 행위가 집단의 생존에 필요한 먹이 저장고를

 지켜 냈을지 몰라도 일벌 자신은 그 이익을 누리지 못한다. 

<이기적 유전자> 중



방금 정의한 기준에 따르면 이건 이타적인 행동이 맞겠죠.


(가미가제 특공대: 2차 세계대전 말기 자살공격한 일본의 특공대)



보통 책들은 여기서 끝났겠지만. 


이 책은 <이기적 유전자>입니다.


네 그러니까 이제 이런 일들의 이유를 알아봐야 하는 것이죠.



암사마귀는 왜 동족 포식을 할까? 



일벌은 왜 스스로를 희생해가며 먹이 저장고를 지킬려 할까? 



같은 의문들을 던지며 해결책을 찾아 나서야 합니다.


이제 여기서 집단선택설이 등장하는 것이죠.





집단선택설이란 "생물은 종(또는 집단)의 이익을 위해서 행동하도록 진화한다. "는 아이디어인데.


이 아이디어를 다윈의 진화론으로 이해하자면.




자기 집단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개체들이 희생함으로써(일벌처럼) 


다른 경쟁자 집단보다 절멸할 위험이 감소하면 결과적으로 자연선택에 의해


자기 집단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개체들이 증가해 세상에는 자기희생을 치르는 개체가


넘쳐난다는 것이죠. 



곰곰히 생각해보면 너무 정설같고.


우리의 문화와 비슷해 보입니다.


성적 카펫도 이와 비슷해 보이네요.



하지만 이 논리는 이외로 약한 논리입니다.


책에서 나온 반박은 두가지로 모두 소개하겠습니다.



이에 대한 '개체선택론자' 의 답은 

간단히 말해서 다음과 같다. 

이타주의자의 집단 내에 희생을 눈곱만치도 

하지 않으려는 소수가 반드시 있게 마련이다.

 다른 이타주의자를 이용하려는 

이런 이기적인 반역자가 한 개체라도 있으면, 

정의에 따르자면 그 개체는 아마도 다른 개체보다 더 잘 살아남고 

자손도 더 많이 낳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자손은 그의 이기적인 특성을 이어받을 것이다.

<이기적 유전자> 중




간단히 말하면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웅덩이를 흐린다는 겁니다.



어느 수준의 이타주의가 바람직한가?

가족인가 , 국가인가, 인종인가, 종인가. 

아니면 전체 생물인가에 대한 인간 윤리의 혼란은 

진화론의 입장에서 보면 어느 수준에서 이타주의를 기대할 수 있는가라는 

생물학적인 문제와 혼란을 그대로 반영한다.

<이기적 유전자> 중






반박 내용이 직접적으로 안보이긴 하지만.


흐름상 집단선택설을 어떤 범위의 집단으로 규정할 것 인가에 대한 비판입니다.


당연하게도 저자가 이런 비판을 했다는 것은.


적어도 저자가 집단선택론자가 아니라는 거겠죠.


그럼 대체 저자는 어떤 단위가 이기성(선택권)을 가진다고 생각하는걸까요.


이 책의 제목에도 써 있듯이.


저자 도킨스는


유전자가 그 단위이고


유전자는 이기적이라고 합니다.



나는 선택의 기본 단위,

 즉 이기성의 기본 단위가

 종도 집단도 개체도 아닌, 

유전의 단위인 유전자라는 것을 주장할 것이다.

 이 말이 일부 생물학자들에겐

 극단적으로 들릴지도 모르겠다. 

(중략) 

이러한 논의 전개에는 시간이 걸리므로 

우선 생명 그 자체의 기원에서부터 시작한다

<이기적 유전자> 중 






여담)


다음 장은 생명의 기원인 원시수프와 자기복제자에 관련한 이야기입니다.


기대 하진 마세요. 저도 언제 끊길지 모르는 시리즈라서.


그래도 나온다면 가장 재밌을 겁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