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태 이것도 안하고 뭐했나 – 1편 국어 연계 공부
안녕하세요! 컨텐츠 연구원/저자로 활동하고 있는 평가원 딱대입니다. 방학을 맞아 ‘여태 이것도 안하고 뭐했나’라는 주제로 칼럼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현재 수십여명의 학생을 상담/멘토링하고, 과외도 진행하면서 가장 머릿속에 자주 스쳐가는 말이 이 말입니다. ‘여태 이것도 안하고 뭐했나’ 여러분들이 지금 시기에 꼭 했으면 하는, 어쩌면 조금 늦었더라도 꼭 했으면 하는 공부들을 칼럼으로 제시하는 것이 이 ‘여태 이것도 안하고 뭐했나’의 목표입니다. 지금 쓰는 글들은 전부 1등급을 받기 위해 이번 방학에 꼭 해야할 일이라고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첫 주제는 ‘EBS 연계 공부’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EBS 공부를 등한시하고 있습니다. 전에 EBS 연계에 변화가 생길거라는 언급이 있었지만 현재 국어 과목에 대해서는 EBS 공부가 유의미 하다는 것이 6평을 통해 증명되었습니다. 우선 이번 6평에 연계된 작품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8~21번 홍성원 – 무사와 악사 : 수능특강 적용학습 현대소설 09강
22~27번 김광욱 – 율리유곡 : 수능 특강 적용학습 갈래복합 02강
28~31번 작자 미상 – 채봉감별곡 : 수능특강 적용학습 고전산문 09강
32~34번 김광규 – 대장간의 유혹 : 수능특강 적용학습 현대시 12강
6평에 출제된 7작품 중 4작품이 연계 교재인 수능특강에 수록된 교재였습니다. 물론 교재에 수록된 것과 다른 부분이 출제되긴 했습니다만, 율리유곡은 5곡 중 2곡이 겹쳤고, 대장간의 유혹은 현대시라 전문이 출제되어 동일한 부분이 출제되었습니다.
독서도 알아보겠습니다.
4~9번 재이론 – 수능특강 적용학습 주제 통합 01강
10~13번 베카리아 형벌론 – 수능특강 적용학습 주제 통합 04강
14~17번 PCR – 수능특강 적용학습 과학기술 02강
비문학에서는 5지문 중 3지문이 연계되었습니다. 꽤나 높은 비율이긴하지만 실제로 현장에서 체감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같은 주제라고 해도 독서라는 분야의 특성상 개별적 대상의 특징 보다는 서술 방식이나 정보 처리가 중요한데 독서가 연계가 되면 설명하는 대상이 같은 정도 수준으로 연계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러한 연계는 어떻게 학습을 해야할까요? 우선 문학부터 살펴보도록 합시다.
문학은 연계가 실제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운문의 경우 한 작품의 길이가 그리 길지 않기 때문에 전체 작품 학습이 가능합니다. 일부 고전시가는 길이가 너무 길어 학습이 어려울 수도 있지만 대부분 그리 길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문을 학습하며 시는 시적 상황/표현법/정서,태도 등을 학습하고 이외에 작가에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여 작가연계까지도 공부할 수 있습니다. 소설은 너무 길기 때문에 전문을 학습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전체 작품의 줄거리, 인물들의 캐릭터, 주요 갈등, 작품 설명 등은 알아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주 중요도가 높은 작품이거나, 엄청 짧은 소설 작품이 아니라면 전문을 다 읽어보는 것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운문과 산문 모두 해당하는 작가의 작품들은 기출을 전부 풀어보길 권장합니다!
이에 반해 독서는 연계 공부를 하더라도 체감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따로 공부해야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교재 선택은 얇고 간단히 서술한 책을 선택해서 회독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내용을 외워야지라는 생각보다는 많이 봐서 눈에 익숙해지게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구체적으로 모든 정보를 실제로 외워서 현장에서 활용한다라기 보다는 본 경험이 있는 작품을 현장에서 마주친다는 사실만으로 안정감을 주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독서는 아예 보지 않아도 되는 걸까요? 그래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사설 모의고사’입니다. 수능 전에 많은 회차의 사설모의고사를 풀게될 것이고, 거기서 연계가 반영된 독서 지문을 많이 보게될 것이고 그 과정에서 공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실모를 풀며 본인의 연계 문학 공부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연계를 학습한다면 문학을 풀 때 많은 시간을 아껴서 어려운 독서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다음 칼럼은 기출 분석에 관한 내용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이나 원하시는 칼럼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0 XDK (+1,000)
-
1,000
-
25학번 의대생 겁준다고 발작하는건 예비 의대생이 아님 0
정작 25의대 합격생이나 지망생들은 얘기 진중하게 들어주고 그 와중에 나름 살길...
-
디지털로 찍음
-
겨울 2달 동안이라도 공부하고 가려는데 컴공마냥 코딩에 미친놈들 많아서 도태될 확률...
-
나이스 ㅅㅅㅅㅅ
-
생윤 정법 0
둘다 해보신분들 있음? 공부량 차이나 뭘 더 추천하시는지 알 수 있을까요
-
홓잌데 2
셔욿데
-
국민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국민대25][자취, 기숙사, 하숙, 고시원 단점비교]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국민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국민대학생, 국민대...
-
저 1등은 중대 쓸 성적이 아닌데 가나다 군 전부 다 중대에 박아놨네요......
-
피램 왔습니다 0
새책이 이렇게 많이 쌓이니 두근댑니다
-
정치인이 표를 위해서 25학번 의대생들을 위해줄거다 라는 말을 들으면요 동네...
-
과탐 자체가 어질어질해진건 아는데 그나마 과탐중에 생지1 난이도 할만한 편임?...
-
풀어주세요
-
섣불리 결정을 못하겟다;
-
사탐런에 관하여 5
커뮤만 봐도 엄청나게 많은 실수 표본들이 사문 하나 끼고 사탐런 하시는거 같은데...
-
나랑 맞팔해 맞팔
-
누적 복권 확률 0
어케 되나요??
-
준비물: 인터넷, 진학사 계정 특히 소수과일수록 아주 중요함. 표본보다보면 특이...
-
지금 일어나는 일의 본질적인 문제가 지지율이 부족해가지고 의대증원카드를 쓴거라는...
-
대학에서 제일 돈 안드는 방법은 25학번 방치하는거죠 0
25학번 다 뽑아놓고 유급, 제적빔 때리면서 절반 쳐내고 의평원 인증위해 26학번...
-
ㅋㅋㅋㅋㅋㅋㅋ 이게맞냐
-
차이가 뭔가요???
-
반수해서 옮기는 대학교 합격증 인스타에 올리셨음뇨? 아님 ㄴㄴ?
-
[칼럼] 25학번 모집정지가 가능성이 낮은 간단한 이유 7
증원을 맞이한 의과대학은 아래의 세 가지 선택지가 있다. 1) 25학번 모집정지...
-
한국이 그렇게 공평한 나라였다면 남자만 독박징병하는것도 나라가 공평해서임?
-
혼자지내면서 알바하고 그 돈으로 혼자 영화보고 공연보러가고 맛있는거 먹는게 인생...
-
변남 어디없나요 3
똥 자주싸는 설사남 어디없나
-
맛점하세요 6
맛점
-
가성비로요!!
-
페미니스트대통령 1
헉
-
프사일러 투척. 2
음 역시귀엽군
-
언제부턴가 우리나라는 상식이란게 통하지 않게 되었네요 3
내일 당장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아무도 알수 없는, 그런 나라가 되어버렸어요 언제부터였을까요
-
준비물:고속, 진학사 계정, 엑셀, 크럭스테이블 진학사는 원점수는 안보여주고...
-
고1,2 모고에서 대부분은 1컷에 걸리는 성적(1,2 왔다 갔다하는 성적)이었음...
-
점심여캐투척 3
으흐흐
-
공부방법을 물어보시는 분도 있고 다짜고짜 말도 안 되는 말을 하지 말라는 분도...
-
학종 열심히 채워놨고 진로는 생명쪽으로 채웠습니다 주요교과 (국수영과사?) 랑....
-
자꾸 재학생들 25학번 불인증 거리면서 겁주고 다니는데 3
-4500시킨다는 사람들이 왜 24학번 -3000시킬수도 있다는 생각은 못해요?...
-
선생님이 갑자기 바지내리면 그것도 생중계로 전국에서 보는거임?
-
꿀잼 두오가실분 구해요...
-
여행일정때문에 고민.. 1/2~1/6 왕복 33 1/21~1/24 왕복 43 둘중하나 택
-
하하
-
일주일을 기념할 수 있군요 ㅋㅋ ㅋ
-
남자가 파데스틱바르고 눈화장이랑 턱쉐딩하면 관리하는거? 9
어제 아는 알바하는형님이 술마시자고해서 급하게 헤어 세팅하고 (가일) 피부 기초로...
-
7일남음 3
카리스미ㅏ스
-
3학년 올라가고 학교에선 미적 선택했는데 수능은 확통으로 보려고 합니다. 이러면...
-
하.. 진짜 괜히 올려봤다… 대체 왜… 3칸뜨는 데가 다 안정이되지..
-
수학 오랜만에 풀어봄ㅋㅋ 과외구해볼까
-
기만하니까 뭔가 기분 좋음(진짜 개지잡임
저녁시간이라 지나칠 수가 없어서 댓글도 써봅니다
선생님 믿고 연계 열심히 하고있는 ^_^ ,,, 원래 구입한 문학 연계책이 N제 포함이라 꽤나 두툼했는데 큰맘먹고 타사 얇은책으로 바꾸니까 확실히 편해서 여러번 보게 되더라구용
칼럼글 감사합니다
혹시 문제집 이름이 뭔가요??
저도 궁금
저도 궁금
원랜 ovs?
저두 쪽지로라도 부탁드려요..
현대소설, 고전소설 전문 공부할필요가 있을까요? 그시간에 정리된 자료로 인물 갈등 이런거 반복해서 보는게 더 나을까요?
네!
전문은 너무 길기에 효율이 떨어진다고 봅니다. 아주 중요도가 높고, 짧은 작품이라면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로는 정리된 자료를 보는걸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