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 day Commander [887105] · MS 2019 (수정됨) · 쪽지

2020-12-01 21:24:49
조회수 1,973

[영어]선별지문에 포함된 지문 분석 하나 더 해드리니 가볍게 읽어보고 가세요! 그리고 기도합시다.

게시글 주소: https://mission.orbi.kr/00033432559

안녕하세요?


평가원 출제 기조가 해당 년도에 사회적 이슈나 문제로 대두되었던 것들을 다룬다는 얘기는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번 년도는 전무후무한 코로나로 많은 분들이 힘들어 하고 계십니다.


지문 중 '박테리아 및 세균'과 관련한 지문이 있어 지문 분석을 해 드리니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보시되 내용을 읽어보시고 기도메타를 통해 이 지문이 수능에 나오길 바라봅니다.


다만 코로나때문에 박테리아 관련 지문이 출제된 것이라는 예상 역시 너무 일차원적이기 때문에 


평가원이 일부러 이 지문을 거를 수도 있음을 알립니다.


그러니 다같이 이 지문이 나오기를 기도합시다..

(기도메타)


다른 선별지문 분석도 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orbi.kr/00033383893







독해하며 읽기 편하게 단어를 나오는 순서에 맞춰 지문과 평행배치했으나, 

만약 글자가 작은 분은 아래의 이미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글의 주제와 내용 및 흐름(순서) 정도만 알아두시면 됩니다.


그렇다고 하여 한글 해석만 줄줄 외우는 게 아니라, 

최소한 아주 대충이라도 해석은 할 수 있어야 순서 배열 문제도 어렵지 않게 맞힐 수 있습니다.


또 지문의 내용 흐름(=순서) 및 마지막 문장 내용 정도는 암기해주는 게 좋습니다.


그럼 시작합시다.



------------------------------



1. The apparent “mess” of the bacterial domain is understandable.

박테리아 영역의 분명한 "혼란"은 이해할 만하다.



------------------------------



2. From the examples of the microbiological world, it is clear that lifestyle or morphology is only of limited use to establish relatedness, and many bacteria look more or less the same under a microscope.

거시생물계 세계의 예들로부터, 생활 방식과 형태가 분류를 확립하기에 오직 제한적으로만 유용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그리고 많은 박테리아는 현미경으로 보면 더 혹은 덜 같아보인다.


comment: 박테리아가 현미경으로 보면 생김새가 다 거기서 거기이고, 생활 방식과 형태로 분류하기에는 제한적이다.

(즉, 생김새로도 구분x, 생활 방식과 형태로도 분류X)



--------------------



3. So how should we group bacteria, if not by their looks and behavior?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박테리아를 그룹지어야할까? 그것의 생김새와 행동에 의해서가 아니라면?


comment: 앞에서 박테리아의 생김새는 현미경으로 보면 다 거기서 거길 구분도 안되고, 생김새와 행동에 의해서도 구분이 안 되니 어떻게 박테리아를 구분할지 묻고 있는 겁니다.



-------------------------



4. In the old days, when research was dedicated to medical microbiology, distinctions were frequently made based on the diseases bacteria could cause.

옛날에, 연구가 의학적 미생물학에 집중됐을 때, 구분은 흔히 만들어졌다. 그 구분이 박테리아가 유발할 수 있는 질병에 토대로. 


comment: 핵심 내용입니다. 박테리아를 생김새로도, 행동에 의해서도 구분이 안되니 박테리아가 유발하는 질병으로 박테리아를 구분한 겁니다.



-----------------------



5. This has led to some inaccurate classifications that we live with even today.

이것은 우리가 심지어 오늘날까지도 함께 갖고 사는 부정확한 분류로 이끌었다.


comment: 박테리아를 생김새로 구분할 수 없으니 그것이 유발하는 질병을 토대로 구분한 건데, 그러니까 분류가 부정확해졌다는 것이지요.



---------------------------------



6. For example, shigellosis is a type of severe diarrhea caused by Shigella species, for instance Shigella dysenteriae, which, by objective criteria, are just particular nasty brands of E. coli (the “E.” of E. coli stands for the genus Escherichia).


예를 들어, shigellosis는 Shigella 종에 의해 유발되는 심한 설사의 타입인데, 예를 들어 Shigella 이질,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 단지 대장균의 해로운 종류일 뿐이다.(대장균의 'E'는 Escherichia의 속을 나타낸다)


comment: 아까 유발 기준으로 박테리아를 구분하다 보니까 부정확한 분류가 생겼다고 했죠? 그 예를 들어주고 있는 겁니다. 그러니까 'shigellosis'는 'Shigella'라는 박테리아 종에 의해 유발되는 설사증세일 뿐입니다. 또 'Shigella 이질'은 객관적인 기준에 의하면 그냥 대장균의 해로운 종일 뿐입니다.


어? 뭔가 이름이 뒤죽박죽 섞여있네요? -> 박테리아가 유발하는 질병으로 분류한 부정확한 분류탓.



--------------------------------



7. There is no scientific reason to grant Shigella bacteria their own genus name, but taxonomists have not renamed Shigella bacteria to be incorporated into the Escherichia genus — yet.


Shigella 박테리아에게 그들의 속(종 속 할때 그 속) 이름을 준 어떤 과학적 이유도 없지만, 분류학자들은 Shigella박테리아가 Escherichia genus 속에 속하도록 재명명하지 않았다. - 아직도.



-----------------------------------



내용 흐름


1. 박테리아 영역이 혼란한 것도 이해할 만 하다.


2. 박테리아는 현미경으로 보면 너무 쪼끄매서 다 거기서 거기처럼 보여서 구분이 안된다. 그럼 어떻게 구분하지?


3. 그래서 옛날에는 박테리아를 그들이 유발하는 질병을 기준으로 분류했다. 그러다 보니 오류 발생.


4. 그 예로 'Shigella' ~~ 머시기 균이 나옴.


5. 그런데 분류학자들은 오늘날에도 박테리아에 붙은 잘못된 이름을 재명명하지 않았다.



--------


추가 첨언


전 이 지문을 읽을 때 이렇게도 생각했습니다.


'하긴, 옛날에는 유전자 기술이 발달되지 않았을 거 아냐. 종 분류는 DNA로 하는 거 아닌가? 그런데 걔네들이 유발하는 질병을 기준으로 종 분류를 하면.. 코로나도, 독감도, 감기도 다 기침+열 일으키니까 같은 종으로 분류되겠네? 그래서 질병 기준으로 종을 분류하면 잘못된다는 거구나~'


'박테리아가 너무 조그마하니까 제대로 구분을 못했구나'


정도도 같이 생각해 보았습니다.



0 XDK (+70)

  1. 50

  2. 10

  3.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