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장은 망했다.(ft. CJ, 현대, 한샘)
아무리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게 주식이고 산업이라지만, 최근 과거에 비해 눈에 띄게 힘들어진 산업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건축"쪽이 그렇죠.
뭐 일각에서는 "제발 통일좀 돼라... 통일이 돼야 한다.. 나는 통일 코인이나 타련다.."는 말까지 나온다고 하네요.
통일이 되기 전까진 이 산업은 답이 없다나 뭐라나.
질문 한 가지 합시다. 건축 산업이 ㅈ됐습니다. 그러면 어디가 망할까요?
뭐 이거에 대한 대답도 여러가지일 수 있겠지만 대표적으로는 "가구업"을 댈 수 있겠네요.
네, 최근 국내 가구 대기업인 한샘, 현대 리바트 등등의 주가가 몇 년 전에 비해 죽을 쑤고 있습니다.
북미 가구 기업의 국내 시장 노리기, 경기 자체의 침체 등등의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대표적인 이유에는 아무래도 건축 산업 자체가 ㅈ되고 부동산도 비싸지고 거기에 결혼-출산 자체를 꺼려하는 국내 시장 분위기까지 더해진 게 가장 크겠죠.
제가 한샘 관련자는 아닙니다만 제가 한샘 오너였으면 정말 답답했을 것 같아요.
왜냐? 국내 시장에서는 몇 년 째 아무리 해봐야 답이 안 보이거든요.(예민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지만, 지금보다 더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여지가 안 보인다는 뜻)
그래서 최근 우리나라 가구업계에서 눈에 띄게 보이는 움직임이바로 "해외진출"입니다.
업계 1위 한샘은 중국과 인도네시아로, 업계 2~3위쯤 되는 현대는 베트남으로.(현대의 경우 아직까지는 매출이 전체 대비 5%남짓이 마물러 있긴 하지만, 결국 피할 수 없는 흐름을 거스르긴 힘들어 보임.)
각각 진출해 있죠. 특히나 한샘은 엄청나게 공격적인 목표를 들고 진출에 박차를 가하는 중입니다.
(근데 한샘의 700조 가구시장, 중국 사업은 예전에 이미 한 번 고배를 마신 적이 있죠. 다시 확대- 진출한다고 합니다. 아마 가장 중요한 요소는 "현지화"가 되겠죠.)
객관적으로 국내 시장은 점점 힘들어 질 것 같습니다. 3대 투자사에서 올해 국내 성장률을 2퍼센트 초반대로 잡기도 했으며, 심지어는 무디스에서는 1.9퍼센트로 잡았어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에서 3퍼센트 성장은 우스웠는데 말이죠.(3%->2%는 정말 어마어마한 차이입니다. 정확한 비유는 아닐 수 있겠지만, 쉽게 설명하자면 신세계그룹 정도쯤 되는 거대기업 하나가 통째로 사라진 거랑 비슷합니다. 경제가 어려워지면 고용부터 줄이는 게 기업들이니 고용 자체는 이보다 훨씬 더 더 줄어들겠죠. 아마 어느 과나 취업하기는 더더 힘들어질것 같습니다.)
특별한 요소가 없는 이상 계속 이럴 겁니다. 어쩔 수 없어요.
그럴 수록 해외 시장 진출은 필수불가결해질 것이고, CJ(특히 제일제당), 한샘 등등의 내수시장 중심의 대기업들도 이러한 흐름에 적응해야겠지요.
가장 대표적인 게 제일제당의 공격적인 인도네시아 진출이고, 엔터테인먼트의 터키 시장 개척이라고 볼 수 있겠죠.(물론 터키 진출은 -현 상황에서는- 실패했다고 보여지지만...)
앞으로도 이런 상황이 계속될 것이고, 적응하지 못한 자는 쓰러지겠죠.
해외 경제의 흐름에 항상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외대생들뿐만아니라, 앞으로 사회에 진출하실 오르비언 분들께서도 알아두면좋은 흐름일 것 같아 일기장처럼 끄적여 봅니다.
덧붙여서, 말레이인도네시아어과, 베트남어과, 태국어과 등등의동남아시아 언어를 전공하게 되신 분들은 앞으로 동남아 시장이 아세안으로 하나로 묶이게 됨에 따른 효과에 대해 찾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 부러울 정도로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거든요.
댓글로 자유로운 토론과 반박 환영합니다.
1. 외대 국통과 LT의 차이점
https://orbi.kr/00027555688/정보)%20외대)%20국통과%20LT의%20차이점
2. 모든 외대생분들께 드리는 글
https://orbi.kr/00026938976/모든%20외대생분들께%20드리는%20글.
3. 외국어 약세고 취업 망이라는 건 동의 못 함
https://orbi.kr/00026806741/26)외국어%20약세고%20취업%20망이라는%20건%20동의%20못함
4. 남몰래 보는 특수외국어 정보글
https://orbi.kr/00026514335/남몰래%20보는%20특수외국어%20정보글
5. 이제는 문과도 과가 중요합니다(복전, 부전, 전과, 학사)
https://orbi.kr/00026494093/이제는%20문과도%20과가%20중요합니다.(FT.%20상경학사,%20이중전공,%20부전공,%20복수전공,%20특수과,%20전과)
감사합니다(꾸벅)
0 XDK (+1,550)
-
1,000
-
50
-
500
-
시정곤(2006), "사이버 언어의 조어법 연구"인데 40대 인터넷 말투는 지금도 똑같은 듯
-
ㅅㅂㅅㅂㅅㅂㅅㅂ 농어촌 통계학과 친구들아 더 좋은곳으로 가줘
-
코가 커진다는게 사실인가요
-
틀리는 느낌도 없이 조용히 비가 내림 공통보다 확통이 더 싫음;;;
-
가즈아
-
괜찮겠죠? 하 합격 취소해버리면 어떡하죠
-
무지무지 2
나를 단무지라 불러다오
-
왜 정적분 구간을 1부터 x로 주었을까 1이 다른 상수로 바뀌어도 전혀 문제가...
-
한명이라도 좋으니까 빠질꺼라고 말해줘 제발제발
-
ㅇㅇ
-
짝수해이긴해도...ㅜㅜ
-
동대 경영 0
동대 경영 예비 12번인데 합격 될 까요 작년에는 20명 정도 돈 것 같은데 쪼끔 불안하네요
-
시대 전장 ㅇㅈ 4
ㄷㄷㄷ
-
와 너무 춥다 0
어제부터 요번주는 좀 많이 춥네
-
내가 그렇게 풀었거든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통학, 기숙사 그리고 자취의 각 장단점]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과기대생,...
-
동국대 문과랑 숭실대 자유전공(공대) 고민중인데 그냥 공대가 답이겠져..?
-
이 지문이 작품에서 되게 중요한 부분을 들고 온 거구나 라는 느낌이가 생긴거 같음
-
양심 뒤진 건가 진짜
-
Orbi law. 14
말투가 이상하거나 욕을 입에 달고 살거나 애들이 나사가 빠져있다->여르비 말투가...
-
경ㅡ마식 이상치같이 쉽지만 정확히 못이해하면 죽창꽂는 문제 5번 7번 10번 보기를...
-
251120 뭐지? 10
아니 뭐냐..? 현장에서 개같이 어려워보여서 유기했는데 답지보니까 ㄹㅇ 개간단하네..뭐지
-
바야흐로 2014년이었어...
-
N수생들 얼마정도 썼었나염?
-
TRL개념 설명 2
-
시대 질문 3
부라에서 쉬는시간외에 화장실가면 벌점인가요 커피마시면 자주가서 중요한데
-
너무 추워 0
손이 시려워
-
ㅇㅈ아 0
나 지금 되게 신나 저녁 끝나서 가볼게여
-
작년 25수능이 현역임
-
지금 한완기 수1, 수2 하고 있는데 슬슬 막히는 게 조금씩 생겨서 그런데 뉴런...
-
오마 신데렐라
-
칼럼이란건 19
1. 가독성이 좋아야됨 2. 정말 가치가 있는 내용이어야함 요즘 수험생들은 이미...
-
유빈이라는 닉네임은 없을까요 다른 유빈이 너무 유명해졌나..
-
동대 법학 예비 0
몇번까지 돌거같으신가요..하 작년처럼만 돌면 좋겠는데
-
이거 어캄
-
음지도 이건 걸러...
-
여르비 제발 쪽지줘 12
오랜만에 연애좀 해보자
-
True Random number 는 진성난수 True Random Logic 는...
-
바께추움 3
너모추어
-
오르비만 봐도 처음보는 앱, 처음보는 단어가 너무 많아요
-
국어가 만점인가 그랬긴 한데
-
한강 작가님의 힘이 대단하군요
-
홍머고 작년에 200% 넘게 돌앗는데 불안하네요… 동국데 터졋다니까…… 점공률...
-
기계과는 전과 TO가 널널해서 신청하면 웬만하면 다 받아줌 ㅇㅇ 매년 28명 정도
-
내신은 3을 아무리 쳐해도 못넘음 그래도 반 3등까진 해봄 ㅋㅋㅋ 수학
-
안녕하세요 인사드립니다 17
둘 셋 안녕하세요
-
뚜껑이열려내외제차 12
현실적인 드림카 중고 600LT를 벅벅
-
반갑습니다 여러분 저는 수학을 가르치는
-
본인 갓반고임? 10
2024 3모 미적 92점에 백분위 99인데 전교 31등임 전교생은 380명
-
수학을 더 올려야하는데 도저히 못올리겠어서... 13111을 올해 수능 목표점수로 잡을까해서요
전 계속 중국 바이두 같은 중국주식만 보고 있었는데 덕에 새로운 정보를 얻었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주식은 (어려워서..!) 잘 못하지만 최근 고놈님 칼럼 보면서 조금씩 공부하는 중입니다
잘 되셨으면 좋겠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삼전이 진작에 인도시장으로 나가는 이유가 있었군요..(같은맥락에서)
그나저나 이걸 관통하는 인구문제가 가장 큰 걱정인 것 같습니다
아마 저출산 문제, 여기에 얽힌 고령화, 인구 감소 문제,... 오래 두고 보면 우리나라 시장에 있어 가장 큰 위험이 될 것 같아요
특히 고령화로 인해 의사 수요는 더더욱 늘어날 것 같네요..
의치한열풍은 한동안 계속되고 되면 남는장사인 게 저희세대까지는 확실해보이는..
의치한수+간호사 전문직이 망할 일은 없겠죠... 해외 취업하기에도 용이하구요
CJ의 터키 사랑은 여전하네요
CGV부터 대형 투자하는 자회사가 한둘이 아닌듯한..
그게 나중에 크게 빛을 발할 것으로 보임.
앗, 고놈님 항상 글 잘 보고 있습니다..!
터키 사랑하다 본사까지 타격 입은 적도 있더랬죠 다만 CJ가 해외에 자꾸 진출하려고 하고, 실제로 진출하는 것 자체는 바람직하고 미래를 보면 해야만 하는 일인 것에는 분명합니다. KTNG도 중동, 동남아에서 담배 파는 마당에...
저 분야 진출은 금융권에서도 활발합니다.
증권업에서 미래에셋과 은행에서 신한과 하나은행을 보면 저 리그 선두자입니다.
채용시장 또한 조금씩 저분야로 뽑고 있는데, 한 3~4년 뒤부터 폭발적으로 늘어날 겁니다.
은행 같은 경우 이제 국내 뱅킹하는 곳은 줄고 해외 비지니스하거나 IB로 탈바꿈하는 중이죠.
어차피 한국 특성상 해외교류는 필수적이지만, 기존 한국의 교류 대상이 미국과 중국에 치우쳐서 앞으로 계속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 작업에 들어갈 겁니다.
현정부는 신남방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지원하고 있지만, 위 같은 큰 기류는 누가 정권을 잡든 계속 확대됩니다.
1. 한국 성장동력이 떨어진것+2. 미국,중국 시장의 성장 한계와 위험 노출
이게 향후 제2외국어나 어학전공자들 더 활동하기 좋아지는 환경으로 만들겁니다.
글 항상 잘 보고 있어요 ㅎㅎ
문과는 정말...외국어든 뭐든 무기가 필요할거같아요 살아남으려면 ㅠㅠ